반응형

2025/10/14 5

"Information Memorandum (IM)"?

Information Memorandum (IM), 즉 정보 비망록은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거나, 인수합병(M&A) 거래를 진행하거나, 주요 자산을 매각할 때 잠재적인 투자자나 인수자에게 제공하는 가장 핵심적인 문서임. 이는 투자 대상 기업이나 자산에 대한 상세하고 포괄적인 정보를 담고 있어, 상대방이 충분한 실사(Due Diligence)를 시작하기 전에 거래의 타당성을 평가하고 초기 투자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함. IM은 단순히 정보를 나열하는 것을 넘어, 기업의 가치와 성장 잠재력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는 마케팅 도구로서의 성격도 가짐.1. Information Memorandum (IM)의 정의 및 목적1.1. IM의 정의IM은 기업 또는 자산의 매각, 자금 조달, 채권 발행 등 주요 ..

"Garantee Limitation Lanaguage"?

Guarantee Limitation Language (보증 제한 조항)는 계약 당사자(보증인)가 특정 의무나 채무에 대해 부담하는 재정적 또는 법적 책임의 범위와 한계를 명확히 규정하는 조항임. 이는 보증인이 예상치 못한 과도한 위험을 부담하는 것을 방지하고, 계약 당사자 간에 위험을 합리적으로 분배하기 위해 필수적으로 사용됨.1. 보증 제한 조항의 정의 및 목적정의 (Definition)보증 제한 조항은 **보증(Guarantee)**의 핵심적인 책임을 인정하면서도, 그 책임의 최대 금액(Cap), 범위(Scope), 기간(Duration) 등을 구체적으로 제한하는 계약 문구임. 보증은 일반적으로 주 채무자(Primary Debtor)가 채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보증인(Guarantor)이 그 채..

"Captial Strucutre"?

자본 구조는 기업이 영업 활동과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어떤 원천으로부터 얼마나 조달했는지를 나타내는 재무 구조임. 이는 기업의 대차대조표(Balance Sheet) 상의 부채와 자본 항목으로 구성됨.1. 자본 구조의 구성 요소기업의 자본을 구성하는 주요 요소는 크게 **타인 자본(부채)**과 자기 자본(자본) 두 가지임.구성 요소정의특징타인 자본 (Debt)은행 대출, 회사채 발행 등 제3자로부터 조달하고 이자를 지급해야 하는 자금.- 이자 비용: 세금 공제 혜택(손금 인정)을 받음. - 상환 의무: 만기가 되면 반드시 원금을 상환해야 함. - 리스크: 부채 비율이 높으면 재무 리스크(파산 위험)가 높아짐.자기 자본 (Equity)주식 발행(자본금), 이익 잉여금 등 주주로부터 조달하거나 기업이 영업 활..

"Bear Market"?

서론: 시장 사이클의 양면성주식 시장은 끊임없이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사이클을 가짐. 투자자들의 심리가 낙관으로 가득 차 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시기를 **Bull Market (강세장)**이라고 부르는 반면, 주가가 장기간에 걸쳐 하락하고 투자 심리가 비관과 공포에 사로잡히는 시기를 **Bear Market (약세장)**이라고 함. 약세장은 단순히 주가가 일시적으로 떨어지는 조정을 넘어, 투자 환경과 경제 전반에 깊은 영향을 미치는 중대한 시장 국면임. 약세장은 투자자들에게 손실과 불안감을 안겨주지만, 시장 사이클의 자연스러운 일부이며 장기적으로는 다음 강세장을 준비하는 기회가 되기도 함. 약세장을 현명하게 극복하기 위해서는 그 정의, 발생 원인, 특징, 그리고 투자 전략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

"Limited Liability Partnership"?

서론: 전문직을 위한 새로운 형태의 기업전통적인 조합(Partnership)은 구성원 간의 협력을 바탕으로 사업을 운영하지만, 가장 큰 단점은 **무한책임(Unlimited Liability)**이었음. 즉, 조합원 중 한 명의 과실이나 채무에 대해 다른 모든 조합원이 자신의 개인 재산으로도 책임을 져야 하는 구조였음. 이는 특히 회계사, 변호사, 컨설턴트 등 고도의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직 서비스 분야에서 사업 확장의 큰 걸림돌이 되었음. 이러한 배경 속에서, 조합의 유연한 운영 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주식회사와 같은 **유한책임(Limited Liability)**의 장점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사업체가 등장했음. 바로 Limited Liability Partnership (LLP), 즉 유한책..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