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argon (Corp & Banking Finance) 40

"Empty Voting"?

주주 의결권의 본질기업 지배구조에서 주주 의결권은 매우 중요한 개념임. 주주들은 자신이 투자한 기업의 주요 의사결정(이사회 선임, 합병 승인, 정관 변경 등)에 참여하여 목소리를 낼 수 있는 권리를 가짐. 이러한 의결권은 전통적으로 주주가 보유한 주식 수, 즉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대한 경제적 이해관계(Economic Interest)에 비례한다고 여겨졌음. 주주가 기업의 가치 상승을 통해 이익을 얻고, 기업 가치 하락 시 손실을 입기 때문에, 합리적인 주주는 자신의 경제적 이익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것이라는 가정이 깔려 있음. 그러나 현대 금융 시장의 발달, 특히 파생상품 및 증권 대차(Securities Lending) 거래의 확산은 이러한 전통적인 가정에 도전하는 현상을 만들어냈음...

"Change of Control"?

기업 거래의 핵심 조건기업 인수 합병(M&A), 지분 투자, 경영권 분쟁 등 다양한 기업 거래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 중 하나는 바로 Change of Control (지배권 변경)임. 이는 특정 기업의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체가 바뀌는 상황을 의미하며, 단순히 주식 소유권의 변화를 넘어 해당 기업에 맺어진 수많은 계약 관계와 이해관계자들에게 중대한 영향을 미침. 지배권 변경은 계약 조항 발동, 직원 보상, 부채 상환, 규제 승인 등 복잡한 법적 및 재정적 파급 효과를 야기함. 기업 거래를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지배권 변경의 의미를 정확히 이해하고, 관련 조항들을 면밀히 검토하며, 이에 대한 전략적인 대비를 하는 것이 필수적임. 이 글에서는 지배권 변경의 정의, 발생 유형, 주요 계약 조항 및 ..

"Holding Comapny"?

현대 기업 지배구조의 복잡성현대 기업 지배구조는 단일 기업이 모든 사업 부문을 직접 운영하는 단순한 형태를 넘어, 복잡한 계열사와 자회사 네트워크를 통해 효율성과 전문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진화했음.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중심에는 특정 사업을 직접 영위하기보다는,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지분을 소유하여 그 기업들을 지배하고 관리하는 데 주력하는 특별한 형태의 기업이 존재함. 바로 Holding Company (지주회사)임. 지주회사는 단순히 자회사를 소유하는 것을 넘어, 그룹 전체의 전략적 방향을 설정하고, 자원 배분을 최적화하며, 각 사업 부문의 시너지를 극대화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함. 이 글에서는 지주회사의 정의, 유형, 주요 기능과 역할, 장점과 단점, 그리고 설립 목적 및 한국 시장에서의 특징과 ..

"Junk Bond"?

채권 시장의 스펙트럼금융 시장에서 채권은 기업이나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부채 증권임. 투자자는 채권을 매입함으로써 발행 기관에 돈을 빌려주고, 그 대가로 정기적인 이자 수익과 만기 시 원금을 돌려받음. 채권은 일반적으로 주식보다 안정적인 투자 수단으로 여겨지지만, 모든 채권이 동일한 위험 수준을 가지는 것은 아님. 채권 시장에는 매우 안전한 국채부터, 높은 위험을 수반하는 특정 기업 채권까지 넓은 스펙트럼이 존재함. 이 스펙트럼의 고위험 영역에 위치하면서도 잠재적으로 높은 수익률을 제공하는 채권이 바로 Junk Bond (정크 본드)임. 정크 본드는 매력적인 수익률로 투자자들을 유혹하지만, 그 이면에는 상당한 위험이 도사리고 있음. 이 글에서는 정크 본드의 정의, 특징, 발행 목적, 투자..

"CFIUS"?

글로벌 경제와 국가 안보의 교차점현대 세계 경제는 국경을 넘어선 투자와 자본 흐름으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 외국인 직접 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는 일자리 창출, 기술 혁신, 경제 성장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가져옴. 그러나 특정 민감 분야에 대한 외국인 투자는 때로는 해당 국가의 국가 안보(National Security)에 잠재적인 위협이 될 수도 있음. 미국의 경우,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고 외국인 투자가 국가 안보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심사하기 위해 강력한 기관이 운영되고 있음. 바로 CFIUS (Committee on Foreign Investment in the United States)임. CFIUS는 미국으로 유입되는 특정 외국인 투자를 심사하여 국..

"Euroclear"?

국경을 넘는 증권 거래의 복잡성현대 금융 시장은 전 세계를 무대로 엄청난 속도와 규모로 움직이고 있음. 국경을 넘나드는 증권 거래는 이제 일상이 되었지만, 이러한 거래가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복잡한 후처리(post-trade) 과정이 필수적임. 매수자와 매도자 간의 거래가 체결된 후, 실제로 증권이 한 계좌에서 다른 계좌로 옮겨지고, 그 대금이 지급되는 '결제(settlement)' 과정은 금융 시스템의 핵심적인 인프라임. 물리적인 증권의 이동과 현금의 교환은 비효율적이고 위험하며, 특히 국경을 넘는 거래에서는 더욱 그러함.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글로벌 증권 시장의 효율성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기관이 바로 Euroclear임. Euroclear는 세계 최대의 국..

"ERISA"?

왜 ERISA가 제정되었나?1970년대 이전의 미국에서는 근로자의 퇴직금 및 복리후생 플랜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거나 남용되는 사례가 빈번했음. 기업이 파산하거나 플랜 관리자가 부정 행위를 저지르면서 수많은 근로자들이 어렵게 모은 퇴직 연금을 잃는 비극적인 사건들이 발생하기도 함.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근로자들의 퇴직 및 건강 플랜 자산이 안전하게 관리되고, 약속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보호하기 위해 제정된 포괄적인 연방 법률이 바로 ERISA (Employee Retirement Income Security Act of 1974)임. ERISA는 단순한 법률을 넘어, 미국 사기업의 퇴직 연금 및 복리후생 플랜을 규율하는 방대한 규제 체계의 근간을 이룸. 이 법은 플랜의 운영, 관리, 정보 공개..

"Bridge Loan"?

금융 흐름의 유연성 확보기업이나 개인이 자금을 필요로 할 때, 때로는 즉각적인 자금 조달이 어려울 수 있음. 장기적인 자금 조달 계획은 있지만, 그 과정이 완료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하거나, 예상치 못한 긴급 자금이 필요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음. 이러한 일시적인 자금 공백을 메우고, 장기적인 금융 계획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돕는 금융 상품이 바로 **Bridge Loan (브릿지론)**임. 마치 강 양쪽을 연결하는 임시 다리처럼, 브릿지론은 단기적인 자금 수요와 장기적인 자금 조달 사이의 간극을 효과적으로 연결해 줌. 이 글에서는 브릿지론의 정의, 특징, 주요 활용 사례, 장점과 단점, 그리고 주의해야 할 사항들을 심층적으로 다룸. 특히 부동산 개발, 인수 합병(M&A), 기업 구조조정 등 다양한 ..

"Placement Agent"?

자본 시장의 그림자 속 전문가현대 금융 시장은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으며, 특히 사모펀드(Private Equity), 벤처캐피탈(Venture Capital), 헤지펀드(Hedge Fund)와 같은 대체 투자(Alternative Investment) 영역은 그 규모와 복잡성이 날로 커지고 있음. 이러한 펀드들은 은행이나 증권 시장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전통적인 방식과는 다르게, 주로 기관 투자자(Institutional Investors)나 고액 자산가로부터 비공개적으로 자금을 모집함. 이 과정에서 펀드 운용사(General Partner, GP)와 잠재적 투자자(Limited Partner, LP)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복잡한 자금 모집 과정을 효율적으로 이끄는 핵심적인 전문가 집단이 바로 Pla..

"D&O Policy"?

D&O Policy가 필수적인가?현대 기업 경영 환경은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함. 이사(Directors) 및 임원(Officers)들은 직무 수행 과정에서 수많은 법적, 재정적 위험에 노출됨. 사소한 경영 판단 착오부터 중대한 법규 위반 의혹에 이르기까지, 이들이 직무상 발생시킨 손해에 대해 개인적인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 빈번함. 이러한 책임은 막대한 소송 비용, 합의금, 벌금 등으로 이어져 개인의 재산은 물론 기업의 평판에도 치명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 바로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이사 및 임원들의 개인 재산을 보호하고, 동시에 기업이 유능한 인재를 유치하고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적인 금융 상품이 바로 D&O Policy (Directors & Officers Liability Insurance..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