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494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8편] 정보 및 보고 (Information & Reporting): GP의 투명성 의무와 LP의 감시 권한

사모펀드(PE/VC) 투자에서 LP(Limited Partner)가 직면하는 가장 큰 위험은 **정보의 비대칭성(Information Asymmetry)**임. 펀드의 일상 운용을 GP(General Partner)에게 맡긴 LP는, GP의 보고(Reporting)에 전적으로 의존하여 투자 상황을 파악함. 따라서 LPA(유한책임조합계약서)의 정보 및 보고(Information & Reporting) 조항은 LP의 실질적인 감시 권한과 펀드 운용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법적 안전장치임. 이 조항은 GP가 어떠한 정보를, 어떤 형식과 주기(Frequency)로 LP에게 제공할 의무가 있는지를 규정함. 본 편에서는 GP가 LP에게 제공해야 할 보고서의 종류와 필수 포함 사항, 펀드 자산 가치..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7편] 비용 및 경비 (Fees and Expenses): 운용 보수(Management Fee) 산정 기준과 공제 가능 비용의 법적 경계

사모펀드(PE/VC) 투자의 핵심 경제적 조건은 수익 배분(Waterfall)뿐만 아니라, **GP(General Partner)에게 지급되는 운용 보수(Management Fee)**와 **펀드의 자산에서 공제되는 경비(Expenses)**에 대한 조항임. 운용 보수는 GP의 생존과 운영을 보장하는 핵심 자금원이며, 비용 조항은 **LP(Limited Partner)의 실질적인 투자 수익률(Net IRR)**을 깎아 먹는 가장 큰 요인이 될 수 있음. LPA(유한책임조합계약서)는 이 두 항목을 명확히 정의함으로써, GP가 불필요한 비용을 펀드에 전가하는 행위를 통제해야 함. 본 편에서는 운용 보수의 산정 기준이 펀드 라이프사이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하고, LP의 자본을 보호하기 위해 반드시 구..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6편] 수익 배분 구조 (Waterfall) 분석: 우선 수익률(Preferred Return)과 성과 보수(Carried Interest)의 계산

사모펀드(PE/VC) 투자의 경제적 성공 여부는 펀드가 수익을 실현했을 때 그 현금이 어떻게 분배되는지(Distribution)를 규정한 수익 배분 구조, 즉 워터폴(Waterfall) 조항에 달려 있음. 워터폴은 LPA(유한책임조합계약서)에서 LP(Limited Partner)가 실제 손에 쥐는 수익률을 결정하는 가장 핵심적인 재정 조항임. 워터폴 조항은 LP의 **우선 수익률(Preferred Return)**을 보호하고 GP(General Partner)의 **성과 보수(Carried Interest)**를 계산하는 복잡한 단계를 정의함. 본 편에서는 PE/VC 펀드에서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미국식 워터폴(Deal-by-Deal Waterfall)'**과 **'유럽식 워터폴(Total Fund..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5편] 펀드의 감시자: LPAC (Limited Partner Advisory Committee)의 권한과 이해 상충 통제

사모펀드(PE/VC)의 지배구조에서 GP(General Partner)는 운용의 전권을 가지는 반면, LP(Limited Partner)는 제한적인 책임만을 짐. 이러한 권한과 책임의 불균형 속에서 **LPAC(Limited Partner Advisory Committee, 유한책임조합원 자문 위원회)**는 LP의 이익을 대변하고 GP를 견제하는 펀드의 최고 감시 기관으로서 기능함. LPA(유한책임조합계약서)에서 LPAC 관련 조항은 펀드 운용의 투명성과 공정성을 확보하는 핵심적인 안전 장치임. 본 편에서는 LPAC가 어떻게 구성되며, GP의 가장 큰 위험 요소인 이해 상충(Conflict of Interest) 상황에서 LPAC의 승인(Waiver) 권한이 펀드의 법적 안정성에 미치는 결정적인 역할에 ..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4편] 자본의 강제 호출: 출자 요청(Capital Call) 및 출자 불이행(Default)의 가혹한 법적 제재

사모펀드(PE) 또는 벤처 캐피탈(VC) 투자는 약정된 자본을 한 번에 납입하는 것이 아니라, 운용사(GP)의 **출자 요청(Capital Call)**에 따라 자본이 인출되는 구조임. LPA(유한책임조합계약서)에서 출자 요청 조항은 LP(Limited Partner)에게 가장 즉각적이고 강제적인 재정적 의무를 부과하는 핵심 조항임. 특히, 이 의무를 이행하지 못했을 때 발생하는 **출자 불이행(Default)**에 대한 제재는 매우 가혹하며, LP의 전체 투자금을 잃게 만들 수 있음. 본 편에서는 Capital Call의 법적 절차와 LP가 이를 거부할 수 없는 이유를 분석하고, 출자 불이행 시 LP가 감수해야 하는 **‘드라코니안적 제재(Draconian Penalties)’**의 종류와 그 법적 함..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3편] 무한 책임 대 제한 책임: GP와 LP의 역할 및 법적 경계선 해부

사모 투자 펀드(PEF) 투자의 근간은 **GP(General Partner)의 무한 책임(Unlimited Liability)**과 **LP(Limited Partner)의 제한 책임(Limited Liability)**이라는 근본적인 법적 분리 구조에 기반함. 이 구분이 없다면, 펀드라는 투자 수단은 존재할 수 없음. 유한책임조합계약서(LPA)는 이 두 책임 주체의 역할을 명확히 나누고, LP의 제한 책임이라는 '성역(Sanctuary)'을 지키기 위한 법적 경계선을 상세히 설정하는 문서임. 본 편에서는 LPA가 어떻게 GP에게 운용의 자유를 부여하는 동시에, LP에게 자본 통제의 권한을 주어 균형을 맞추는지, 그리고 LP가 제한 책임을 잃고 무한 책임을 지게 될 수 있는 법적 위험은 무엇인지 심층적..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2편] 펀드의 시계: 존속 기간(Term)과 투자 기간(Investment Period)의 법적 의미

사모펀드(PE)나 벤처 캐피탈(VC)에 투자할 때, 계약서의 앞부분에서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핵심 조항은 펀드의 **존속 기간(Term)**과 **투자 기간(Investment Period)**임. 이 두 기간은 단순한 시간의 길이가 아니라, GP(General Partner)의 투자 전략과 운용 방식, 그리고 LP(Limited Partner)가 자본을 회수하는 시점을 근본적으로 규정하는 법적 기준임. 본 편에서는 LPA(Limited Partnership Agreement)에 명시된 펀드의 '시간'에 관한 조항들을 상세히 해부함.1. ⏳ 펀드 존속 기간의 이중 구조: Term과 Investment PeriodLPA에서 펀드의 시간은 크게 두 개의 중요한 기간으로 나뉘어 정의됨.1.1. 총 존속 기간..

[PE/VC 펀드 투자 시리즈 1편] 자본의 계약서: LPA와 SA의 관계 및 '투자 파트너십의 헌법' 해부

사모펀드(Private Equity, PE)나 벤처 캐피탈(Venture Capital, VC) 펀드에 투자하는 것은 단순히 돈을 넣는 행위가 아님. 이는 **유한책임조합원(LP)**으로서 펀드의 **일반 파트너(GP)**와 길고 복잡한 법적 관계를 맺는 행위임. 이 관계를 규정하는 핵심 문서가 바로 **유한책임조합계약서(Limited Partnership Agreement, LPA)**와 **출자청약서(Subscription Agreement, SA)**임. LP로서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서는 이 두 문서가 펀드의 경제적 구조, 운용의 투명성, 그리고 당신의 법적 권리를 어떻게 규정하는지 정확히 이해해야 함. 본 시리즈 1편에서는 LPA와 SA의 역할과 상호 관계를 **'투자 파트너십의 헌법과 입회 신청..

[해외 고용계약서 시리즈 18편] 최종 점검: 완벽한 계약을 위한 체크리스트 및 협상 전략

17편에 걸친 긴 여정 동안 우리는 해외 고용계약서의 모든 핵심 조항을 세부적으로 해부했음. 이제 이 시리즈의 마지막 편이자 가장 실질적인 단계인 최종 검토 체크리스트와 효율적인 협상 전략에 대해 총정리하겠음. 계약서에 서명하기 전, 이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당신의 권리와 의무를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더 나은 조건을 확보하기 위한 협상을 자신감 있게 진행하시기 바람.1. 📝 최종 계약서 서명 전 점검 (Ultimate Pre-Signing Checklist)계약서 전체를 크게 네 가지 핵심 영역으로 나누어, 각 조항이 당신의 이익에 부합하는지 최종적으로 확인해야 함.A. 급여 및 보상 (Compensation & Overtime)핵심 조항점검 사항확인 목표기본 급여 (Base Salary)총 연봉(Gr..

[해외 고용계약서 시리즈 17편] 포괄적 잔여 조항: 준거법 및 분리 가능성 (Governing Law & Severability)

16편에서 우리는 고용 관계의 종결을 규정하는 **계약 해지 사유(Termination Clauses)**에 대해 다루었음. 이제 계약서의 마지막 부분을 장식하며, 계약서 전체의 해석과 집행 방식을 결정하는 필수적인 잔여 조항(Boilerplate Clauses)인 준거법(Governing Law), 관할 법원(Jurisdiction), 그리고 분리 가능성(Severability) 조항에 대해 논하겠음. 이 조항들은 평소에는 눈에 띄지 않지만, 분쟁 발생 시 계약의 유효성과 최종 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기준이 됨.1. 📝 준거법 (Governing Law) 조항의 중요성준거법 조항은 계약에 명시된 모든 의무와 권리를 해석하고 유효성을 판단하는 데 사용될 특정 국가 또는 주(State)의 법률을 지정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