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rgon (Corp & Banking Finance)

"Certain Funds"?

프린트 100장 2025. 5. 13. 10:31
반응형

Certain Funds 조항(Certain Funds Provision)은 인수금융(leveraged acquisition finance) 거래에서 특정 기간 동안 자금공급자의 대출의무를 제한 없이 확정하는 조항을 의미함. 즉, 일정 조건 충족 시 대출기관이 자금을 반드시 제공해야 하며, 차입자에게 불리한 변경이나 철회를 금지함. 이 조항은 M&A 거래에서 매수인의 자금조달 리스크를 줄이고, 매도인에게 계약의 확실성을 제공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함.


1. Certain Funds Provision의 배경 및 필요성

인수금융의 특성

  • 대부분의 M&A 거래는 계약 체결(SPA signing)과 종결(closing) 사이에 일정한 시간차 존재
  • 이 기간 동안 매수인이 대출로 자금을 조달해야 함
  • 만약 이 시점에 대출이 취소되면 계약 이행 자체가 불가능해짐

→ 이런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대주단에게 일정 기간 자금제공을 강제하는 구조가 바로 Certain Funds


2. Certain Funds 조항의 핵심 내용


적용 기간 계약서상 특정 기간 (보통 closing일까지)
대출 거절 제한 사유 극히 제한적 (e.g. 사기, 파산 등)
차입자 진술/보장 위반 일반적으로 해당 기간 동안에는 거절 사유로 인정되지 않음
주요 의무 자금 사용 목적 제한, M&A에만 사용
목적 매도인에게 거래 종결의 확실성 보장
 

3. 일반 대출약정과의 차이점

 

대출 실행 요건 광범위한 진술/보장, 전제조건 극히 제한적 전제조건만 적용
대출 철회 가능성 높음 (선의의 위반도 포함) 매우 낮음 (사기/불법 행위만 해당)
매도인의 리스크 높음 (closing 실패 가능성 존재) 낮음 (거래 성사 보장력 높음)
 

→ 결과적으로 매도인의 거래 확신을 높이기 위한 구조


반응형

4. 계약서 문구 예시 (Certain Funds 조항)

 
During the Certain Funds Period, the Lenders shall not be entitled to refuse to fund the Facilities on the basis of any misrepresentation, breach of warranty, or failure to satisfy any condition precedent other than those specified in Schedule 2 (Certain Funds Conditions).
 

※ Schedule 2에는 **최소한의 전제조건 (예: 불법행위, 법적 무효, 파산 등)**만 열거됨


5. Certain Funds 조항이 중요한 이유

매수인(M&A Buyer) 입장

  • 자금조달 리스크를 계약서 수준에서 관리 가능
  • 거래 종결 확률을 높여 협상력 강화

매도인(Seller) 입장

  • 자금 미도달로 인한 deal failure 위험 최소화
  • Earnest Money(보증금) 외의 실질적 보장 수단 확보

대주단(Lenders) 입장

  • 제한된 상황에서만 대출 거절 가능 (리스크 높아짐)
  • 높은 이자율 또는 additional covenant로 리스크 보완 필요

6. 실무에서의 운용 방식

일정 관리

  • SPA 체결과 동시에 Certain Funds Facility Agreement 준비 필요
  • 통상 40~90일 사이의 Certain Funds Period 설정

리스크 보완

  • **대표진술서(Bringdown Certificate)**를 통해 특정 진술 반복 확인
  • 내부승인(Credit Committee approval)을 SPA 이전에 완료

7. 시장에서 Certain Funds가 일반화된 배경

  • 영국 및 유럽 M&A 시장에서 먼저 확산됨
  • 미국도 Private Equity 기반의 거래에서는 일반화
  • 한국 시장에서도 Cross-border deal이나 외국계 PEF 참여 거래에서는 필수적

8. Certain Funds 조항과 관련된 실무 이슈


조기 종료 위험 특정 조건 불충족 시 조기 종료 조항 포함 가능
정보 비대칭 매수인이 대출자와 계약한 약정은 매도인이 직접 확인 불가
계약 위반 리스크 사소한 위반으로 대출 불가 사유가 되지 않도록 조정 필요
대주단 분산 공동 대출일 경우 각 대주단의 동의 조건 통일 중요
 

📌 이번 글 요약

  • Certain Funds 조항은 인수금융 거래에서 매도인에게 자금 조달의 확실성을 보장하는 핵심 조항임
  • 특정 기간(Certain Funds Period) 동안, 대출자는 제한된 예외 사유 외에는 대출 거절 불가
  • 일반 대출 계약보다 대출자의 권리를 축소시키는 대신, 거래 확실성을 확보하는 구조
  • M&A 거래에서 법률적, 금융적 신뢰도를 높이기 위한 실무 필수 요소로 자리 잡음
  • 계약 초안 단계에서부터 Lender와의 사전조율전제조건 범위 확정이 중요함
반응형

'Jargon (Corp & Banking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SunGard Provisions"?  (2) 2025.05.16
"Drawstop"?  (1) 2025.05.15
"Prepayment Premium"?  (0) 2025.05.13
"Call Protection"?  (0) 2025.05.08
"Haircut"?  (1) 2025.05.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