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529

[BSL Facilities Agreement 5편] 오케스트라의 지휘자: 주선기관(Arranger) 및 대리인(Agent)

지난 4편에서 우리는 **대주단(Lender)**의 구성과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음. 이제 대규모 대주단의 효율적인 운영을 가능하게 하는 두 명의 핵심 조력자, 바로 **주선기관(Arranger)**과 **대리인(Agent)**에 대해 논하겠음. 이 두 주체는 BSL(Broadly Syndicated Loan) 거래의 **'오케스트라 지휘자'**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복잡한 신디케이션 과정을 원활하게 이끌어가는 핵심적인 역할을 함. 주선기관과 대리인은 보통 대출을 주도하는 은행이 겸임하지만, 그 역할과 책임은 명확히 구분됨. 이들의 기능을 이해하는 것은 신디케이트론의 구조를 깊이 있게 파악하는 데 필수적임.1. 📝 주선기관 (The Arranger)의 역할: 거래의 설계자주선기관은 대출 거래의 시작과..

[BSL Facilities Agreement 4편] 대출의 공여자: 대주단(Lender)의 역할과 구성

지난 3편에서 우리는 **차주(Borrower)**의 핵심적인 역할과 책임에 대해 알아보았음. 이제 대출이라는 관계의 다른 한 축을 담당하는 **대주단(Lender)**에 대해 논하겠음. 신디케이트론(BSL)의 특성상, 대주는 단일 기관이 아닌 여러 금융기관의 연합체인 대주단의 형태로 존재함. 이 대주단은 거래의 규모와 복잡성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금융기관으로 구성됨. 대주단에 대한 조항을 이해하는 것은 대출의 자금 공급원과 그들의 권리 및 의무를 파악하는 데 필수적임. 이 조항들은 대주단 각 구성원의 책임 범위를 명확히 하고, 대출금 회수 시 그들의 권리가 어떻게 행사되는지를 규정함.1. 📝 대주단(Lender)의 정의 및 구성**대주(Lender)**는 Facilities Agreement에 따라 ..

[BSL Facilities Agreement 3편] 대출의 주체: 차주(Borrower)의 역할과 책임

지난 2편에서 우리는 BSL(Broadly Syndicated Loan) 계약서의 핵심인 **정의(Definitions)**와 해석(Interpretation) 조항을 파헤쳤음. 이제 대출의 중심에 있는 **차주(Borrower)**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심층적으로 논하겠음. 차주는 단순히 돈을 빌리는 당사자를 넘어, 계약서의 거의 모든 조항에 걸쳐 막대한 의무를 지는 핵심 주체임. 차주에 대한 조항을 이해하는 것은 계약서 전체를 이해하는 데 필수적임. 왜냐하면 진술 및 보증(Representations and Warranties), 확약(Covenants), 채무 불이행(Events of Default) 등 계약서의 대부분의 내용은 차주가 약속을 지키는지, 그리고 약속을 어겼을 때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BSL Facilities Agreement 2편] 조항의 심장부: 정의 및 해석(Definitions and Interpretation)

지난 1편에서 우리는 BSL(Broadly Syndicated Loan) 계약서의 기본 뼈대인 **당사자(Parties)**와 **거래 개요(Recitals)**를 해부했음. 이제 계약서의 진정한 심장부라 할 수 있는 **정의(Definitions)**와 해석(Interpretation) 조항을 파헤치겠음. 이 조항들은 계약서에 등장하는 모든 전문 용어와 표현의 의미를 명확하게 규정함으로써, 계약서 전체의 **'언어'**를 통일하고 잠재적인 분쟁을 예방하는 역할을 함. 복잡한 금융 계약서의 첫인상은 수많은 대문자로 시작하는 용어들 때문에 난해하게 느껴질 수 있음. 하지만 이 용어들의 의미를 담고 있는 정의 조항만 제대로 이해해도, 계약서의 80%를 이해했다고 봐도 무방함.1. 📝 정의(Definitio..

[BSL Facilities Agreement 1편] 계약의 서두: 당사자 및 거래 개요

이제부터 해외 금융 계약서의 정수라고 할 수 있는 BSL(Broadly Syndicated Loan) Facilities Agreement, 즉 신디케이트론 계약서를 조항별로 해부해 보는 대장정의 첫걸음을 떼겠음. 40편에 걸친 이 시리즈의 1편은 계약의 서두를 다루며, 계약의 본질적인 구성 요소인 **당사자(Parties)**와 **거래의 개요(Recitals)**를 설명함. 모든 법률 및 금융 계약서가 그렇듯이, 이 계약서의 시작 부분은 누가, 누구와, 왜 이 계약을 맺는지를 명확히 밝히고 있음. 복잡해 보이는 계약서도 결국 이 간단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존재함. 이 첫 장을 이해하는 것은 계약서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적인 논리를 파악하는 출발점임.1. 📝 계약의 당사자 (The Parti..

[CLO 시리즈 25편] CLO의 주요 참여자: 월가의 오케스트라

지난 24편에서 우리는 CLO(부채담보부증권) 운용의 핵심인 **에셋 매니저(Asset Manager)**의 역할과 전략에 대해 논했음. 이제 CLO 시장이라는 거대한 오케스트라를 구성하는 주요 연주자들, 즉 오리저네이터(Originator), 에셋 매니저, 투자자, 신용평가사의 역할에 대해 논하겠음. 이들은 각각 독립적으로 활동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서로 긴밀하게 연결되어 CLO라는 복잡한 금융 상품의 탄생과 운용, 그리고 청산까지의 전 과정을 만들어냄.1. 💰 오리저네이터(Originator): 대출의 창조자오리저네이터는 CLO에 포함될 **선순위 담보 대출(Senior Secured Loans)**을 실제로 실행하는 주체임. 주로 상업은행, 투자은행 또는 **사모신용펀드(Private Credit..

[CLO 시리즈 24편] CLO 운용의 핵심: 에셋 매니저의 포트폴리오 운용 전략

지난 23편에서 우리는 CLO(부채담보부증권) 시장에서 기회를 포착하는 세 가지 주요 전략에 대해 논했음. 이제 CLO의 심장부, 즉 **에셋 매니저(Asset Manager)**의 역할과 그들의 포트폴리오 운용 전략에 대해 깊이 있게 논하겠음. CLO의 성과는 펀드의 구조뿐만 아니라, 기초 자산인 대출 포트폴리오를 관리하는 에셋 매니저의 역량에 크게 좌우됨. 에셋 매니저는 단순히 대출을 모아놓는 역할을 넘어, 시장 상황 변화에 따라 적극적으로 펀드를 운용하며 수익을 극대화하고 위험을 관리하는 핵심 주체임.1. 📝 CLO 에셋 매니저의 주요 역할에셋 매니저는 CLO의 운용 기간 동안 다음과 같은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함.대출 선정 및 매입: CLO 발행 초기에 펀드에 포함할 선순위 담보 대출을 선정하고 ..

[CLO 시리즈 23편] CLO 시장에서의 기회 포착: 신규 발행, 유통 시장, 리셋 전략

지난 22편에서 우리는 CLO(부채담보부증권) 수익률을 결정하는 핵심 요인인 대출 스프레드, 레버리지, 시장 변동성에 대해 논했음. 이제 CLO 투자자들이 시장에서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세 가지 주요 전략을 논하겠음. 이 전략들은 CLO의 생애 주기와 시장 환경을 활용하여 투자자에게 다양한 기회를 제공함. 투자자는 자신의 위험 선호도와 시장 전망에 따라 이 세 가지 전략 중 하나를 선택하거나, 여러 전략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음.1. 💰 신규 발행(Primary Market) 투자 전략신규 발행 시장은 CLO가 처음으로 투자자들에게 판매되는 곳임. 여기서는 에셋 매니저(Asset Manager)가 새로운 펀드를 조성하고, 투자자들은 발행 초기에 참여하여 유리한 조건을 확보할 수 있음.장점:..

[CLO 시리즈 22편] CLO의 성과 요인: 대출 스프레드, 레버리지, 시장 변동성

지난 21편에서 우리는 CLO(부채담보부증권) 지분 트랜치(Equity Tranche)의 성과 지표인 TVPI, DPI, IRR에 대해 알아보았음. 이제 이러한 지표들이 실제로 어떻게 형성되는지, 즉 CLO의 수익률을 결정하는 주요 요인들을 논하겠음. CLO의 수익률은 단순히 펀드의 구조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님. 기초 자산인 대출의 특성, 펀드 구조의 핵심인 레버리지, 그리고 거시경제 환경 등 여러 복합적인 요인들이 상호작용하여 최종적인 성과를 만들어냄. 이 세 가지 핵심 요인을 이해하는 것은 CLO 투자 성과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데 필수적임.1. 💰 대출 스프레드 (Loan Spread)CLO의 가장 근본적인 수익원은 기초 자산인 **선순위 담보 대출(Senior Secured Loans)**에서 발..

[CLO 시리즈 21편] CLO의 성과 지표: TVPI, DPI, IRR 개념의 재정의

지난 20편에서 우리는 CLO(부채담보부증권) 시장의 주요 동력인 **리파이낸싱(Refinancing)**과 **리셋(Reset)**의 영향에 대해 논했음. 이제 펀드의 최종적인 수익성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들인 TVPI, DPI, IRR에 대해 논하겠음. 이 지표들은 주로 사모펀드(PEF)나 벤처캐피탈(VC)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 사용되지만, CLO의 지분 트랜치(Equity Tranche)에 대한 수익률을 분석할 때도 유용하게 활용됨. CLO의 지분 트랜치 투자는 비상장 사모펀드 투자와 유사한 특징을 가짐. 펀드에 자금을 납입하고, 펀드가 운용되는 동안 정기적으로 현금을 분배받으며, 마지막에 펀드가 청산될 때 남은 자산을 분배받음. 따라서 이 세 가지 지표는 지분 트랜치 투자 성과를 객관적으로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