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Mutual Termination이란?
Mutual Termination(상호 해지)이란 계약 당사자 쌍방이 합의에 따라 계약을 종료하기로 결정하는 절차 및 조건을 의미함. 이는 일반적인 계약 위반이나 일방적 해지가 아닌, 상호 협의에 기반한 종료 방식으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활용됨:
- 양측 모두 더 이상 계약 이행이 의미 없다고 판단한 경우
- 새로운 거래 구조나 계약이 필요할 때
- 시장 환경 변화에 따라 계약 구조 자체를 변경하려 할 때
2. 대표 조항 예시
This Agreement may be terminated at any time by mutual written agreement of the Parties, subject to such terms and conditions as the Parties may agree upon in writing.
→ 단순 종료뿐만 아니라 정산 방식, 기지급금 반환 여부, 비밀유지 지속 여부 등 부속 조건까지 포함하는 형태로 확장 가능
3. Mutual Termination 조항의 핵심 구성 요소
항목 설명
서면 합의 요건 | 구두나 암묵적 합의 방지, 반드시 서면화 필요 |
종료 조건 | 종결 일자, 대금 정산, 자산 반환 등 |
효력 발생일 | 통보일 vs 합의일 vs 특정일 지정 |
잔여 의무 | 비밀유지, 비경쟁, 책임 면제 등 유지 여부 명시 |
기이행 의무 정산 | 미지급금, 납품대금, 용역 완료분에 대한 처리 |
면책 조항 포함 여부 | 상호 책임 면제 여부 포함 필요 |
4. 실무상 활용 사례
상황 활용 방식
❌ 계약 해지 분쟁 발생 우려 시 | 쌍방 동의로 원만히 종료하고 책임 정리 |
🔄 신규 계약으로 전환 예정 시 | 기존 계약을 상호 해지 후 새 조건으로 재계약 |
🧩 계약 목적 달성 불가능 시 | 프로젝트 무산 등으로 상호 종료 선택 |
💸 지급 지연 및 조건 변경 시 | 조정 합의와 함께 계약 자체 종료 |
5. Mutual Termination Agreement 작성 시 포함해야 할 주요 조항
✅ 1) 종료 조건 명시
The Parties hereby mutually agree to terminate the Agreement as of [Date], and acknowledge that no further obligations shall remain, except as expressly set forth herein.
→ 기준일, 종료 범위, 예외 사항을 명시
✅ 2) 미지급금 및 납품 처리
The Client shall pay the Contractor for all services performed and accepted up to the date of termination. No additional fees shall be due thereafter.
→ 잔여 대금 정산 및 지급 의무 확인
✅ 3) 상호 면책 조항
Each Party hereby releases and discharges the other Party from any and all claims, liabilities, or obligations arising out of or relating to the Agreement.
→ 향후 분쟁 가능성 차단
✅ 4) 비밀유지 지속 여부
The confidentiality obligations of Section 8 shall survive the termination of this Agreement.
→ 민감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해 Survival 조항과 연동 필요
✅ 5) 반환 의무 및 소유권 귀속
Each Party shall return all materials, documents, and property belonging to the other Party within seven (7) days of the termination date.
→ 장비, 문서, 데이터 등 자산의 귀속 정리 필수
6. 실무상 고려사항
📌 ① 종료 사유에 대한 문구 조심
- “Without admission of fault or liability” 등을 명시해 책임 회피 효과 확보
- 예: The Parties agree that this termination is made without any admission of breach or wrongdoing by either Party.
📌 ② 세금 및 법적 의무 정리
- 세금 처리, 수출입 신고 등 계약 종료로 발생하는 외부 절차도 정리 필요
📌 ③ 후속 계약 여부 연계
- 새로운 계약 체결이 예정된 경우, 연결 고리 설정 필요
→ “This Agreement shall terminate upon the execution of a new agreement covering similar scope.”
📌 실무정리노트 📝
- Mutual Termination은 쌍방이 협의하여 계약을 종료하는 조항 또는 절차임
- 종료 조건, 보상 범위, 잔여 의무 등을 문서화하는 것이 중요함
- 비밀유지, 미지급금, 책임 면제, 자료 반환 등 후속 조치가 반드시 포함되어야 함
- 계약 종료 이후의 분쟁을 방지하고, 관계 유지를 위한 전략으로 매우 효과적임
반응형
'영문계약서 검토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Time is of the Essence 조항: 기한이 생명인 계약 조항의 모든 것 (1) | 2025.06.30 |
---|---|
Best Efforts vs. Reasonable Efforts: 계약서 속 '최선'의 의미를 해석하다 (0) | 2025.06.30 |
Termination 조항 내 보상 구조 설계 방법: 계약 종료 이후의 정산을 위한 실무 가이드 (0) | 2025.06.25 |
Termination for Convenience 조항: 계약의 유연한 종료 설계 (1) | 2025.06.24 |
Material Breach: 중대한 계약 위반의 판단 기준과 실무 운영 (1) | 2025.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