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계약서를 처음 접할 때 가장 위에 등장하는 문장이 있다. 바로 Preamble, 즉 '서문'임. 얼핏 보면 계약의 요지 몇 줄 적어둔 소개글 같지만, 이 짧은 문장이 계약 전반에 걸쳐 중요한 해석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음. 특히 계약 당사자, 배경, 목적을 요약하고 있기 때문에 이 부분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계약서 전체를 해석하는 첫걸음이라 할 수 있음.
1. Preamble이란 무엇인가?
Preamble은 계약서의 서론 역할을 하는 짧은 단락으로, 일반적으로 계약서 가장 상단에 위치함. 계약의 체결 일자, 당사자 이름과 주소, 법적 지위, 그리고 계약의 기본 목적 등을 간결하게 설명함.
예시 문장:
“This Agreement is made and entered into as of [Date], by and between ABC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with its principal place of business at [Address] (“ABC”), and XYZ Ltd., a company organized under the laws of the Republic of Korea, having its principal office at [Address] (“XYZ”).”
이처럼 문장은 평범해 보이지만, 이 안에는 정확한 법적 주체, 체결일, 관할권 등의 핵심 정보가 담겨 있음. 법적 분쟁이나 계약 해석 문제 발생 시, 이 정보들이 기준점이 되는 경우도 있음.
2. Preamble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3가지
Preamble은 짧지만, 아래 3가지는 반드시 눈여겨봐야 함:
(1) 계약 당사자가 맞는가?
실제 거래 상대방이 계약서 상의 법인과 정확히 일치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 핵심. 이름 하나 틀려도 계약 효력이 의심받을 수 있음. 특히 해외 법인의 경우, 실제 법적 등록 명칭과 주소, 조직 형태까지 철저히 확인해야 함. 예: "Ltd." vs "Limited" vs "LLC".
(2) 체결일과 효력 발생일은 어떻게 연결되는가?
영문 계약서는 체결일(Execution Date)과 효력 발생일(Effective Date)이 다를 수 있음. Preamble에는 주로 체결일이 들어가며, 따로 “Effective Date”가 정리된 조항은 본문에 위치함. 이 차이를 이해하지 못하면 계약의 시작 시점에 대한 오해가 생길 수 있음.
(3) 당사자의 법적 성격이 명확한가?
"ABC Corporation, a Delaware corporation", "XYZ Ltd., a company organized under the laws of Korea"처럼 법적 지위가 명확히 명시되어야 함. 이것이 관할법원 결정, 분쟁 발생 시 소송 또는 중재지 선택의 기준이 되기 때문임.
3. 실무에서 Preamble이 중요한 사례
💼 사례 1: 계약 당사자 실수로 인한 무효 주장
한 국내 기업이 미국 벤처기업과 공동 기술개발 계약을 체결했는데, 계약서 Preamble에 상대방 회사명을 “ABC, Inc.”가 아니라 “ABC Technologies”라고 오기재함. 실제 존재하지 않는 회사명을 명시했기 때문에, 상대방은 계약 무효를 주장하며 소송으로 번졌음. 결국 계약의 체결 의사와 정황이 명확하다는 점을 증명해 겨우 해결됐지만, Preamble 단 한 줄의 실수가 수억 원 분쟁으로 이어질 뻔한 사건임.
💼 사례 2: 당사자의 주소가 관할법원 결정에 영향
계약 분쟁이 발생했을 때, Preamble에 기재된 주소지가 계약서 상의 ‘준거법 조항’과 상충되어 혼란을 야기. 미국 회사지만 일본 도쿄 주소로 기재되어 있었고, 이에 따라 일본 법원이 관할권을 주장함. 결국 Preamble 내용이 준거법 해석에 영향을 준 셈.
4. 작성 팁: 좋은 Preamble을 쓰기 위한 체크리스트
✅ 계약 일자 | “as of [정확한 날짜]” 표기 |
✅ 당사자 명칭 | 실제 법인등록 명칭과 일치 확인 |
✅ 법적 성격 | “a corporation organized under the laws of...” |
✅ 주소 | 실제 본사 주소지 기준으로 작성 |
✅ 정의 약어 | 이후 본문에서 쓸 별칭까지 명확히 명시 (“ABC”, “XYZ” 등) |
Tip: 계약 초안 작성 시, 상대방의 사업자등록증, Certificate of Incorporation, 법인 등기부등본 등으로 정보 일치 여부 확인하는 것이 필수임.
5. 법적 해석상 의미
Preamble은 형식적 문장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법적 해석에서 실질적인 역할을 함. 특히 계약 당사자의 정의가 논란이 되거나, 계약 체결 경위에 대한 해석이 필요한 상황에서는 Preamble의 문구가 그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일부 미국 판례에서는 Preamble 내용이 계약 해석의 중요한 참고자료로 인정되기도 했음.
📌 실무 정리 노트
- Preamble은 계약서 상단에 위치한 서문으로, 계약 당사자와 체결 배경을 요약한 문장임
- 당사자 명칭, 체결일, 법적 지위, 주소 등의 정보는 계약 전반 해석에 영향을 줌
- 체결일과 효력일이 다를 수 있으므로 해석 시 유의 필요
- 작성 시 실제 법인 정보와 일치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함
- 실무에서는 이 부분의 오류가 계약 무효나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꼼꼼한 확인이 중요함
'영문계약서 검토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문 계약서의 Affirmative Covenants (2) : 적극적 의무의 설계 (0) | 2025.04.23 |
---|---|
영문 계약서의 Covenants 조항 (1) : 약속의 구조와 통제의 기술 (0) | 2025.04.23 |
영문계약서의 Representations & Warranties 조항: 계약의 신뢰를 담보하는 핵심 기초 (0) | 2025.04.21 |
영문 계약서의 Definitions 조항: 계약서를 해석하는 설계도 (0) | 2025.04.21 |
영문 계약서의 Recitals 조항: 배경 설명의 기술 (1) | 2025.04.18 |